우주에는 수많은 별들이 존재합니다. 그중 우리은하는 우리가 속한 은하입니다. 우주에는 천억 개 이상의 은하가 존재하는데 하나의 은하에는 태양과 같은 항성이 2,000~4,000억 개가 존재한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우리은하의 모양은 나선형 원반처럼 생겼으며 막대나선은하로 분류됩니다. 중심부의 구형은 직경 1만 6천 광년, 주변 직경은 대략적으로 10광년이며 질량은 태양의 약 1조 배 정도입니다. 지구가 태양을 중심으로 공전하고 있듯이 태양은 우리은하 중심부를 두고 2억 5천 년 주기로 초속 약 220km의 속도로 공전하고 있습니다.
우리은하의 전체적인 구조로 보면 구형과 원반형 구조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우리가 속한 태양계는 원반에 위치하며 우리은하 중심에서 약 2.6만 광년 거리를 두고 있습니다. 중심부의 팽대부와 거대한 헤일로는 구형 구조를 이루며 팽대부의 중앙에는 은하핵이 있고 은하핵 속에는 블랙홀이 있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습니다.

밤하늘에 볼 수 있는 은하수는 우리은하의 원반 측면의 모습이며 원반의 얇은 부분에는 가스나 고체 미립자로 이루어진 성간물질이 밀집되어 있으며 원반의 두꺼운 부분에는 나이가 많은 별들이 존재합니다. 원반에는 여러 개의 나선팔이 존재하며 나선팔과 은하의 중심부는 다리 역할을 하는 막대에 의해 연결되어 있습니다.
은하 중심에는 중심핵의 주위를 회전하는 젊은 별과 성단이 존재하며 이 회전 운동 궤도를 조사하여 중심부의 초대질량블랙홀의 존재를 밝혀냈습니다. 초대질량블랙홀은 지금까지 알려진 블랙홀 중 가장 무거운 블랙홀로서 질량이 태양의 십만 배에서 백억 배에 이르는 강력한 블랙홀입니다.
은하 중심부의 중앙 팽대부는 럭비공 모양이고 나이가 많은 별들로 이루어져 있으며 공간이 좁고 중원소 함량이 풍부한 많은 별들이 밀집되어 있습니다.
구형에 가까운 모양을 하고 있는 헤일로는 원래 후광이나 무리를 뜻하는 말이지만 천문학에서는 구형으로 넓게 퍼져있는 은하의 성분을 일컫고 있습니다. 별헤일로와 암흑헤일로로 구분되며 별헤일로는 밀도가 낮은 별들로 구성되어 있어 사진으로는 잘 나타나지 않고 암흑헤일로는 암흑물질로 거대하게 퍼져있는 구형 구조이며 헤일로의 질량의 대부분은 암흑헤일로가 차지하고 있습니다.
우리은하가 속한 국부은하군에서 우리은하는 안드로메다은하와 함께 가장 밝으며 무거운 구성원입니다. 우리은하 주변에는 많은 위성은하가 발견되었으며 이들은 모두 질량이 보통 은하의 1/100배에서 1/1000인 왜소은하입니다.

우리은하의 형성과정은 약 130억 년 전 암흑물질 헤일로 중심에서 중성자와 양성자 물질이 수축하여 중앙의 팽대부와 헤일로가 만들어졌으며 그러므로 이곳의 별들은 나이가 많습니다. 그 후 시간이 흐르면서 성간물질의 밀도가 높아져 지속적으로 별들이 만들어졌고 현재까지도 별이 만들어지고 있습니다. 그 과정에서 태양계는 46억 년 전 탄생하게 되었습니다.
한편 우리은하와 안드로메다은하는 빠른 속도로 가까워지고 있어 수십억 년 후에는 서로 합쳐져 질량이 무거운 타원은하가 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천문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구의 자전과 공전 (0) | 2020.10.21 |
---|---|
동서양의 별자리 (0) | 2020.10.20 |
작은 태양계 목성 (0) | 2020.10.19 |
매년 유성우를 내리는 사자자리 (0) | 2020.10.18 |
행운을 주는 물병자리 (0) | 2020.10.18 |